2015-05-04 | 정의론과 덕윤리 |
---|---|
내용 |
『정의론과 덕윤리』는 롤스의 《정의론》을 국내에 처음 번역·소개한 서울대 철학과의 황경식 명예교수가 최근 천착해온 ‘덕윤리’의 문제를 일상적인 관점에서 풀어쓰고, 정의론과 관련된 최근의 사유를 정리한 글이다. 특히 우리 사회에서 세월호 참사의 근본원인을 책임의식 부재와 각계의 부정부패에서 찾는 의견이 제기되면서 인성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진 것과 관련하여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인성교육 프로젝트를 제안하고 있다. 책은 크게 3부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부는 덕윤리에 대한 저술인 《덕윤리의 현대적 의의》 이후 좀 더 일상적인 관점에서 덕윤리에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와 동양과 서양의 전통적인 주덕및 현대 사회의 주요 덕목들을 소개한다. 제2부는 정의론과 관련된 최근의 생각들을 정리한 몇 편의 글과 더불어 정의론과 덕윤리의 연결고리와 관련된 글을 싣고 있다. 제3부는 덕성익히기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학과 습’을 위한 실천적 가이드와 더불어 학교나 가정에서 실천할 수 있는 인성교육 프로젝트로서 ‘12덕목 익히기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를 담고 있다.
<저자 소개> 황경식 저자 황경식은 서울대학교 철학과 학부 및 석박사 과정을 거치면서 철학 특히 윤리학을 공부하였다(철학박사). 하버드대학교 철학과 대학원 객 원연구원, 동국대학교와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한국윤리학회 회장, 철학연구회 회장, 한국철학회 회장을 역임 하였고, 1996년부터 명경의료재단 이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최근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을 지냈다. 전반기에는 존 롤스의 『정의론』을 번역한 뒤 정의의 문제를 중 심으로 사회윤리를 연구하는 데 골몰하였고, 후반기에는 동서의 전통윤리를 관통하는 덕윤리의 현대적 의의를 천착하는 데 몰두 하고 있다. 전반기의 연구 성과들은『사회정의의 철학적 기초: J. 롤스의 정 의론을 중심으로』(1985),『개방사회의 사회윤리』(1996),『이론과 실천: 도덕철학적 탐구』(1998),『자유주의는 진화하는가: 열린 자유주의를 위하여』(2006) 등으로 출간되었으며『덕윤리의 현대적 의의』(2012)는 후반기 연구 성과를 대변하는 저술이다.
<목차> 머리말 | 4 글을 시작하며 | 91부 덕윤리 | 13 1 왜 다시 덕윤리인가? | 15 문제는 실행이다 | 15 알아도 행하지 못하는 현실 | 19 도덕적 실패의 원인과 극복 | 22 공부의 방법과 습관의 중요성 | 25 삶의 기술로서의 덕과 수양 | 27 중용은 중간 아닌 최선의 선택 | 29 더불어 행복한 인생이 전부이다 | 31 2 서양의 덕윤리와 주덕(主德) | 33 희랍의 4주덕 : 지혜·용기·절제·정의 | 33 기독교의 3주덕 : 믿음·희망·사랑 | 45 3 동양의 덕윤리와 주덕(主德) | 59 공자의 3주덕과 의(義)·예(禮) | 59 맹자의 4주덕과 호연지기 | 65 4 동서의 덕윤리 비교 | 79 중국사상의 덕의 개념 | 81 희랍사상의 덕(arete)의 개념 | 85 두 전통에 나타난 덕목들의 비교 | 88 5 현대 사회의 주요 덕목 | 95 사회구조와 주요덕목의 상관성 | 95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덕목 : 배려, 관용, 책임 | 98 2부 정의론 | 103 1 정의론과 덕윤리 사이에서 | 105 정의론 : 사회적 부채와 최소수혜자 | 105 덕윤리 : 자기수양과 도덕운의 문제 | 113 2 세기의 정의론자 존 롤스 | 121 ‘정의론’ 등장의 지적 배경 | 122 자유주의적 평등의 이념 | 125 계약론적 논변과 ‘정의론’ | 127 공유자산으로서의 천부적 재능 | 131 ‘정의론’과 그 후속 연구 | 134 3 공정한 경기와 운의 중립화 | 137 인생이라는 불공정한 경기 | 137 공정성과 절차주의적 정의 | 140 무지의 베일과 운의 중립화 | 141 기회균등, 자유방임, 자유주의 | 146 귀족주의와 민주적 평등체제 | 149 절차와 결과의 조정과 공유자산 | 152 공정, 공평과 정의로운 사회 | 155 정의와 사랑, 그리고 운명애 | 158 4 ‘행복한 나라’의 철학적 기초 | 163 정의롭고 행복한 나라 | 165 행복주의적 공리주의 | 168 행복의 역설과 상대성 | 170 유족과 유덕, 진정한 행복 | 173 복불복과 운의 중립화 | 175 새로운 복지 개념의 모색 | 177 5 성숙한 시민사회를 향한 공공의 철학 | 181 의로움은 사적 이해의 화합 | 183 합리적 이기주의자들의 신사협정 | 187 운(運)의 중립화와 정의 공동체 | 193 공적 이성과 심의민주주의 | 198 3부 실행론 - 인성교육 프로젝트 | 206 1 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나 | 213 왜 덕목을 가르쳐야 하나 | 214 언제부터 시작할 것인가 | 215 무엇을 가르쳐야 하나 | 217 어떻게 덕목을 가르치나 | 219 2 어디서 누가 가르쳐야 하나 | 223 3 덕목 익히기 프로그램 예화 : 월별 가훈 열두 가지 | 227 정직과 진실 | 227 용기와 결단 | 230 예의와 겸손 | 234 책임과 자신 | 238 자제와 절제 | 241 신의와 신뢰 | 244 청결과 순결 | 247 존중과 명예 | 251 관용과 배려 | 254 친절과 다정 | 257 공정과 준법 | 260 근면과 검소 | 264 |